경제금융용어 700선

경제 금융 용어 700선 (2) 가계수지

JDI HAN 2020. 10. 15. 09:11

어제보다 성장한 내가 되자!

안녕하세요. JDI입니다. 

 

돈의 속성(김승호 저)을 읽고 금융 문맹을 탈출하고자

경제 금융 용어 700선을 매일 1개 이상 공부하고 블로깅 하겠습니다.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경제 금융 용어 700선은 한국은행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에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으로 검색하시면 최상단에 나옵니다.)

 

 

일정 기간 동안 번 돈을 얼마나 쓰고 남았는지 표시한 것!

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용어집에선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 = 화폐소득 = 돈)과 지출을 비교해서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한 것

 

번 돈 중에서 얼마나 쓰고 남았냐?

이걸 확인할 수 있게 기록 정리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수지란 말이 수입, 지출의 줄임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득 수준과 생활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얼마를 버는가를 확인하여 소득 수준을 알 수 있고,

얼마를 쓰는가를 확인하여 생활실태를 파악할 수 있겠죠?

 

이를 알아야 가계의 건강성을 알 수 있고

가계 간 소득 양극화, 취약 계층 파악 등을 파악하여 

대책을 강구하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세부 항목

 

소득 항목

  • 근로소득: 일해서 버는 소득. ex) 회사 다니며 받는 월급
  • 사업소득: 사업으로 버는 소득. ex) 장사해서 생긴 수입
  • 재산소득: 소유한 재산으로 버는 소득. 임대, 이자, 배당 등이 있습니다. ex) 집 임대 주어 받는 월세
  • 이전소득: 생산에 기여한 대가로 받는 것이 아닌 정부/기업에게 무상으로 받는 소득. ex) 정부로부터 받은 아동수당

비용 항목

  • 식료품비, 주거비, 수도광열비, 보건 의료비, 교육비

 

실생활에서 써먹어보자!

 

노인가구 3분의 2가 비취업으로 평균 가계수지가 거의 0이라는 기사가 있습니다. 

취업이 되지 않고 재산소득이 없는 분들은 수입 자체가 없으니 가계수지가 0에 가까울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지급하는 복지급여나 공적연금 같은 이전소득이 없다면 가계수지가 마이너스, 즉 적자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인빈곤율과 노인 자살률이 1위입니다. 

노인자살률 원인 중 큰 원인이 바로 빈곤율, 경제적 문제 때문입니다. 

남의 문제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모두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나가야 할 문제입니다. 

구조적인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고

많은 사람들이 노인빈곤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또한 금융 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하여 

각 개인이 건강한 금융지식과 마인드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모든 이들의 가계수지가 흑자가 되기를 기도합니다!